최근 서울과 부산시장의 보궐선거 개표방송에서
기권표와 무효표라는 용어가 등장하는데
유튜브의 실시간 방송 채팅창을 보니
기권표와 무효표를 혼동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게 사람들이 흥분해서 방송을 시청하다 보면
방송하는 측에서 적절한 타이밍에
용어를 설명해줘야 오해가 없을텐데요
기권표를 무효표와 혼동하도록 방치하는 방송에서는
채팅창이 폭발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어떤 방송에는 심지어 아나운서들 조차
기권표와 무효표에 대하여
잘 모르는 듯한 발언을 하는 것도 볼 수 있는데요.
선거가 매일 하는 행사가 아니다 보니까
당황하는 점은 이해가 가지만
아나운서로써 프로의식의 부족이 아닌가
살짝 빡이 칠때도 있습니다.
방송에서 잘 설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민주시민은 스스로 선거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합니다.
간단한 선거 용어인데도 뜻을 정확히
모르니까 괜히 흥분을 하는 상황이 펼쳐집니다.
기권표와 무효표가 헷갈려서
검색하는 분들에게 이 게시물이 노출이 되기를 바라며
선거용어에 관한 포스팅을 해봅니다.
어렵게 설명하면 금방 까먹으므로
최대한 쉬운 설명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서울시 인구가 1,000만명 정도합니다.
(1000만명에서 왔다갔다 함)
이 1000만명은 인구통계학으로 분류한 숫자입니다.
이들이 다 서울시장 선거에 투표하지는 않습니다.
1000만명 중에 유권자가 있습니다.
유권자란 18세 이상의 국민으로
선거에 투표권을 부여합니다.
유권자를 공직선거법에서는 선거권자라고 쓰는데
보통 언론 등에서 유권자라고 말합니다.
서울에 오랫동안 살아도
영주권이 없는 외국인에겐
서울시장 선거와 같은 지방선거 투표권이 없습니다.
따라서 서울시장의 당선을 위해 누가 투표하느냐?
- 18세 이상의 한국 국적인 국민
- 서울시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사람 (3개월 이상)
- 대한민국 영주권을 가지며 서울시 외국인등록대장에 기록된 외국인 (영주권 3년 경과)
2021년4월 서울시 재보궐선거의 경우
선거인수가 842만명입니다.
그런데 이 842만명이 전부 투표할리는 없습니다.
투표율이라는게 있고 보통은 50%가 넘게 투표합니다.
선거 때마다 정부에서 투표를 독려하는 것은
모든 민주주의 국가 발전의 초석이기 때문이죠.
이번 투표율은 서울이 58% 부산이 52%로
민주주의 역사가 깊어지면서
과거의 투표율보다 높아지고 있습니다.
서울시 투표자 수를 보면 842만명 선거인 중에서
490만명이 투표를 했습니다.
나머지 352만명은 투표를 안했죠?
투표를 찍으러 안갔다는 말입니다.
투표는 찍지 않았지만 투표용지는
미리 842만개 인쇄해두었습니다.
이 352만개의 투표용지에는
아무것도 찍혀있지 않습니다.
이것을 기권표라고 합니다.
어쨋든 352만개나 용지를 인쇄했으니
어떤 식으로건 처리를 해야할 것 입니다.
뭐 엄밀히 이야기 하면 각 투표소에서
투표가 끝나고 마지막에
비어있는 투표용지를 넣어야 하겠지만
그렇게 하면 개표시 혼란만 더합니다.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기권수는
개봉한 투표함에 해당하는 유권자수에서
투표용지수를 뺀 값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방배1동 투표소에는
투표를 하러온 주민도 있고
투표를 안한 주민도 있습니다.
이 원리로 기권표를 알 수 있습니다.
[기권표 = 투표함의 유권자수 - 투표한 용지수]
기권표라고 해서 투표장에서 가서
투표용지에 기권이라고 써놓고
투표함에 넣은게 아니라는 겁니다.
그럼 무효표도 자연히 알 수 있습니다.
무표효야 말로 투표장에 가서 투표를 안찍고
투표용지에 낙서를 한다거나
투표용지나 그 안의 내용을 손상시키는 경우를 말합니다.
상식적으로 기권표는 엄청나게 많고
무효표는 얼마 안나와야 정상입니다.
무효표를 찍으러 아까운 시간을 내서
투표장에 가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그런 행위를 사람들이 좋게 봐주지도 않죠.
기권표가 많은 것은 정상입니다.
투표율이 55%라면 전체의 45%는 기권했다는 뜻입니다.
인구 5000만 나라에서 2000만명 이상은
여러가지 이유로 늘 기권합니다.
반면 무효표는 선거 결과에 반영이 안되는
뭔가 실수적인 표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선거에서는 별로 나오지 않습니다.
(나는 투표를 거부합니다 - 이런 운동이 아닌이상)
보통은 총선거인(서울시 842만명)의 0.5% 이하 비율이 나옵니다.
842만명의 0.5%라도 상당한 숫자겠지만
뭐 몸이 불편하거나 컨디션이 안좋아서
그 정도는 실수로 일어날 수 있다고 봅니다.
무효표를 줄여서 공정한 선거를 유도하는 것도
선거관리위원회의 소관입니다.
참고로 이 블로그에서 다루는 주제인 블록체인은
미래의 선거 혁신 기술이라는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아직 많은 주제를 다루지 못했지만
앞으로 블록체인과 선거 등 다양한 이슈를 알아볼 예정입니다.
블록체인과 비트코인 탈중앙화 금융 시스템 (decentralized finance) | 블록체인 소개 영상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