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비트코인 차트에 있어서 중요한 순간입니다. 차트적으로도 그렇고 기본적 분석(매크로)에서도 그렇습니다.
월봉부터 보겠습니다. 아래는 바이낸스 비트코인 월봉입니다.
작년 11월 최고점(ATH) 갱신 이후로 10개월간 하락을 지속했습니다. 장이 상당히 좋지 않지요. 패턴으로 보면 쌍봉을 찍고 내려온게 특징입니다. 롱숏의 비율로 보면 2020년 9월부터 양봉이 12개 음봉이 12개 나와서, 하락 추세가 매우 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롱은 기간이 길어서 롱이고 숏은 기간이 짧아서 숏인데 동률입니다. 우상향 차트에서는 균형이 깨진 상황이라 볼 수 있습니다. 월봉 RSI는 42로 2021년 3월 92에 비해서는 50% 이하인데 좀 과매도 상황이라 볼 수 있습니다.
월봉은 봉 하나에 많은 캔들이 들어있어서 매크로와 같이 보는게 좋습니다. 2021년 상반기 불장부터 많은 일이 있었는데 개인적인 경험으로 보면 비트코인은 나스닥의 하위 종목에 들어갈 수도 있고 IT버블일 수도 있는 두 가지 특성을 다 가지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비트코인에 대한 시장의 신뢰도가 낮기도 하고 한편으로 미래 수익에 대한 기대가 큰 종목이기도 합니다. 차트가 어디로 튈지 알기 힘들다는 말입니다.
다음은 주봉입니다. 월봉은 판단이 어려운데 주봉같은 경우는 트레이딩에 있어서 좀 더 현실적이지요. 주봉은 피보나치로 보면 의미가 있습니다. 각 구간에서 반등 잘 나왔고 현재는 2020년 12월 임펄스 시작점으로 되돌림이 왔습니다. 피보나치는 마지노선이 0.236 되돌림인데 여기를 이탈해서 내려왔다는 것은 매우 침체기를 의미합니다. 차트의 역사를 보면 비트코인 빙하기? 주식 빙하기 같은 시대가 오는데요. 비트코인은 글로벌 자산시장이기 때문에 이 정도로 되돌림이 나왔다는 것은 시대적인 침체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비트코인 뿐만 아니라 전세계 자산시장이 캐박살 난 상황이지요? 세계 1위 테크 자산 시장인 나스닥은 선방하고 있으나 하위 호환인 비트코인은 아래로 밀려있습니다. 코스피를 봐도 나스닥 차트가 잘 버티는 거라는 해석도 가능합니다.
주봉의 포인트는 하락 추세선을 지속적으로 리테스트 하고 있는데 돌파하고 있지 못하는 겁니다. 11월 부터 내려온 하락 추세선을 못 뚫고 있습니다. 피보나치가 0.236 아래에서는 뚫어줘야 하는데 심각한 침체기를 의미합니다. 이거는 차트 뿐만 아니라 매크로(주요 경제 뉴스 들)를 봐도 좋은 이야기가 없습니다. 추세선을 뚫으려면 뭔가라도 재료가 있어야 하는데 지금 없습니다. 21일 FOMC 발표는 자이언트 스텝이냐 울트라 스텝이냐 말이 많지요. 만약에 FOMC에서 100p (1%) 금리 상승을 하면 전세계가 영향을 받습니다. 비트코인이 FOMC 금리를 뚫고 올라간다? 글쎄요... 변동성이 나오겠지만 희망적이진 않습니다. 쉽게 말하면 차트도 안좋고 매크로도 안좋다. 올라야 하는 이유를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간혹가다 1-2주의 단기 반등이 나오기도 하는데 거기에 베팅하는 건 애매하죠. 분위기가 다릅니다. 작년의 불장을 겪어본 사람들은 쉽게 손이 가지 않을 겁니다.
다음은 일봉인데 단기 반등은 나올 만한 차트입니다. 아래 일봉 차트에서 지지를 5번이나 받았습니다. 밑에 아무 지지도 없지만 캔들의 원리는 '내리지 못하면 올린다', '올리지 못하면 내린다' 이기 때문에 현재는 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게 2021년 11월달부터 하락을 봐도 상당히 내린 차트라서 잘 내려가지는 않습니다. (많이 내리려면 많이 올라야 한다는 원리)
하지만 한편으로 5번이나 내리려고 했는데 버텼고, 6번째 7번째에 깨면 많이 내릴 수 있습니다. 찐바닥을 알 수 없는 현재로써는 한번 더 내려도 이상하지 않은 차트입니다. 그리고 반등이 시원찮습니다. FOMC가 이틀 앞이기 때문에 변동성이 나온다고 보지만 파월이 시장을 살려준다고 믿어야만 매수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런 불확실성에 베팅하는 건 딱히 좋지는 않죠. 차라리 관망하는게 나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4시간봉 차트입니다. 4시봉의 경우 차트가 안좋지요. 보면 저점은 많이 올리지만 고점은 제대로 못높이다가 빅쇼트를 맞는 패턴입니다. 매수세가 많이 약합니다. 양봉이 없는 건 아니지만 임팩트는 음봉에 있습니다. 한달동안 조금 올린 차트를 내리는데는 2-3일 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18K 중반에서 지지는 받지만 별로 좋지 않습니다. 여러번 깨려다 안깨진 지지일 수록 한번 깨지면 많이 내려갑니다. 4시봉은 올리려고 했지만 힘이 약해서 쉽게 내려지는 모습입니다.
1시봉을 보면 하락 각도가 안좋습니다. 휩쏘도 나오고 하는데 결국은 하방으로 갑니다. 변동성이 나오면 훼이크가 나오는데 어쨋든 근 1년간 계단식 하락을 했습니다. 상승 반전을 기대하는게 쉽지는 않네요.
일단은 FOMC가 24시간 앞으로 다가왔으니 관망해야 겠습니다. 숏을 쳐놨지만 추가 숏을 치지는 않을 것 같네요. 개인적으로는 FOMC이후 비트가 15K까지 떨어지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때는 현물도 좀 담아볼만 할 것 같은데요.
이번주에 뭔가 또 결판이 날 것 같습니다. 필자는 선물을 하기 때문에 현물과는 좀 대응이 다른데요. 단기 반등이 나오면 숏포지션을 손절할 수도 있습니다. 손절은 마이너스 90%가 되도 해야하는 일입니다. 대부분 손절을 못해서 나락으로 갑니다. 손절을 못하면 익절도 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둘다 인간 본성에 반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손절해서 손해보기도 싫고 익절해서 추가 수익을 못 버는 것도 인정할 수 없는게 보통 사람의 심정입니다. 이 바닥은 전재산이 날라가도 냉정하게 손절하는 사람에게 새로운 기회를 주는 곳인데 대부분의 사람은 손절을 못합니다.
좋습니다. 올라가든 내려가든 한국시간으로 22일 새벽에는 결판이 나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