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역학은 20세기에 정립된
과학 이론으로써 인류에게
지금의 전자시대를 열어준
첨단 과학기술입니다.
컴퓨터, 스마트폰 등 전자로
작동하는 기계들은 모두
양자역학 기술을 응용한 것 이므로
우리가 살아가는데 거의 매일
양자역학 기술의 혜택을 받고
살아가지만 물리학의 세계라서
대학에서 관련 전공을 공부한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전통적으로 인기가 없는
분야였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유튜브에 방송국들의
교양 강의들이 업로드 되면서
다시금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보통은 그래도 일반인이 조금은
알아듣기 쉬운 인문학이나 역사학
등이 인기가 있는데요.
특이하게도 공학에서도 제일
난해한 분야인 양자역학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여기에 많은 기여를 하신 분이
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김상욱 교수입니다.
이분 강의의 특징은 어려운 개념을
어린 아이도 알아들을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하는데 있는데요.
이 분의 강의를 보면 리처드 파인만의
'쉽게 설명하지 못하면
그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것이다'
라는 명언이 생각납니다.
물론 물리학의 가설들을 증명하는데는
복잡한 수학식과 실험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수학을 모른다고
양자역학에 대해서 아무것도
알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김상욱 교수님의 분야는 물리학이라
다른 강의들도 하시지만
양자역학에 대해 대중들에게 쉽게
설명하시는 것으로 알려졌고요.
워낙 강의를 많이 하셔서
유튜브에 수년간 그의 양자역학 강의를
들으면 보통 사람도 양자역학에 대해
뭔가 이해할 것 같다는 기분이 드는데요.
김상욱 교수님도 종종
그런 질문을 합니다.
'도대체 이해한다는 것이 무슨 뜻일까요?'
그가 하는 강의는 이런 식으로
접근을 합니다.
리처드 파인만도 비슷한 화법을
많이 사용했었죠.
근본적인 것에 대한 물음의 연속으로
과학의 원리에 접근해갑니다.
양자역학의 원리를 일반인들에게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란게
상당히 어렵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의
원리같이 비유적인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인터넷에 양자역학에 관한 문서들을 보면
암호처럼 어렵게 쓰여져 있어서
그 의미를 알아내는게 너무 어렵습니다.
하지만 김상욱 교수님은 그런 부분을
최대한 일반인의 눈높이에 맞춰서
설명하는 강의를 오래하셔서
되게 어려운 주제인 양자역학을
좀 더 편안하게 들을 수 있도록 합니다.
물론 양자역학에 대해서 전공을
삼으려는 분들은 이보다는 훨씬 더
어려운 강의와 책을 봐야겠죠.
그것은 대학의 상급과정을 통해서
배울 수 있는 것 입니다.
인터넷에서 양자역학의 학문을
배우는 것은 아주 불가능하지는
않겠지만 여러가지로 힘들겠죠.
하지만 교양을 위한 양자역학 강의라면
김상욱 교수님의 강의를 듣는 것으로
충분할 것 입니다.
조금 더 자세히 알고 싶은 분은
김상욱의 양자 공부라는 책에
더 많은 내용과 레퍼런스 들이
담겨 있다고 하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왜 물리학이라는 것을 기본교육과정에서는
엄청 재미없게 배웁니다.
그것은 어려서 이해하기 힘들어서
그럴수도 있겠지만 공교육이란
솔직히 말해 최고의 교육은 아니기 때문이죠.
공교육은 보통의 학생을
최고로 만드는 게 아니라
최고의 학생들을 필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대체로
재미가 없는 것은 당연합니다.
하지만 IT기술의 발달로 예전에는
돈을 비싸게 주고 오프라인에 참석해서
듣던 수업들을 마음껏 무료로 볼 수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돈적으로는 무료고 시간적으로는 유료죠.
시간이라는 비용을 치러야 한다면
김상욱 교수의 양자역학 강의는
시간이 아깝지 않습니다.
이해가 잘 안가면 여러번 보면 됩니다.
추천도서 - 김상욱의 양자 공부 | 문화체육관광부 (mcst.go.kr)
[ENG/신기한 과학나라 FULL ver] 양자역학을 이해한 사람은 아무도 없어요^^